소프트웨어의 부분별 명칭을 알아두면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많은 명칭들이 다른 소프트웨어와 공유하는 것들이어서 컴퓨터를 활용한 모든 작업에 유용한 부분입니다. 시벨리우스의 각 부분의 명칭을 알아보고 그 역할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1. 타이틀 바 (Title Bar)
현재 작업중인 악보의 파일이름을 보여주며, 파트스코어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파일 - 악기 순으로 이름이 표시됩니다. 아직 저장되지 않은 파일이라면 untitled 로 표시되고, 저장한 파일의 경우 * 별 마크가 파일명 뒤에 있을 경우는 저장되지 않은 내용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2. 도큐먼트 탭 (Document tabs)
하나의 창(윈도우) 안에 여러 탭을 열어놓고 작업할 수 있습니다. 토큐먼트 탭에는 현재 열려있는 총보와 파트보가 모두 표시됩니다. 탭을 클릭하는 것만으로 악보 사이를 오가며 편하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 동작은 단축키로도 가능한데 키보드에서 W를 클릭하면 총보와 파트보간 전환이 가능합니다(마지막으로 선택되었던 파트보와 총보간 전환).
새로운 악보를 시작하면 도큐먼트 탭에는 Full Score라는 한 개의 탭만 보입니다. 이 때 도큐먼트 탭 바의 오른쪽 끝에 위치한 +기호를 클릭하면 파트보 및 다른버전의 악보를 열 수 있습니다. (다른버전이란 시벨리우스에 있는 버전관리 기능입니다.)
또한 탭을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탭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으며, 마우스로 탭을 붙잡은채로 상/하로 움직이면 손모양의 포인터로 바뀌고 현재의 창 밖으로 떨구면 그 위치에 새로운 창으로 열립니다. 참고로 시벨리우스는 풀스코어(Full Score)와 파트보(Part Score)의 어떤 곳에서 수정하든지 반대쪽에도 자동으로 수정이 됩니다.
3. 검색 상자 (Find Box)
메뉴의 위치가 잘 생각나지 않을 경우 이 박스에 생각나는 키워드를 타이핑하면 키워드와 관련된 리스트가 검색됩니다. 키보드의 방향키(↑/↓)로 원하는 메뉴를 찾아 이동한 후 리턴키를 클릭하면 해당메뉴가 곧바로 열립니다.
4. 리본 최소화 버튼 (Minimize Ribbon Button)
이 초록색 삼각형 버튼을 누르면 리본이 최소화되어 작업 창을 더욱 넓게 쓸 수 있습니다. 한 번 더 누르면 다시 리본 메뉴가 펼쳐집니다. 작은모니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5. 도움말 버튼 (Help Button)
물음표(?) 버트콘을 클릭하면 시벨리우스사에서 제공하는 매뉴얼인 시벨리우스 레퍼런스파일(Sibelius Reference.PDF)이 열립니다.
6. 새 탭 열기 (Open New Tab)
+ 기호를 눌러 새로운 악보탭을 엽니다. 파트보 및 저장되어있는 이전버전의 악보를 열 수 있습니다. 제일 하단에 있는 New Window를 클릭하면 현재 선택되어있는 악보탭이 새로운 창으로 열립니다.
7. 탭 전환 (Switch Tab)
한꺼번에 탭이 많이 열려있어서 창 안에 모두 표시되지 않을 때 + 버튼 옆의 탭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현재 열려있는 악보 탭의 목록이 나옵니다. 목록에서 원하는 악보를 선택하여 이동할 수 있습니다.
8. 선택개체 정보표시 (Information read-outs)
상태표시 바의 왼쪽에 위치하며 현재 상태에서 유용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왼쪽부터 현재 페이지/전체 페이지, 현재 마디 등 작업창 내에서 선택된 내용에 따라 이 부분에 표시되는 정보가 달라집니다.
9. 상태표시 바 (Status Bar)
창의 제일 아랫부분에 표시되는 Bar로써, 현재 도큐먼트(악보)와 관련된 유용한 퀵엑세스버튼을 제공합니다.
10. 도큐먼트 뷰 (Document View)
화면에 보이는 악보 페이지 정렬 방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한쪽씩 또는 두쪽씩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배열시키거나 파노라마뷰를 통해서 연속되는 롤(Roll)의 형태로 보는 옵션도 제공합니다.
11. 줌 컨트롤 (Zoom Control)
줌 슬라이더를 조절하여 화면상의 악보를 확대/축소할 수 있습니다.
12. 퀵 엑세스 툴바 (Quick Access Toolbar)
윈도우즈 버전에만 있는 세 개의 버튼으로 시벨리우스 윈도우 가장 왼쪽 위에 위치합니다. 각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으로 저장(Save), 언두(Undo), 리두(Redo)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시벨리우스를 구성하는 각 부분의 명칭과 역할을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에도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eyond Sibelius > 기본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보내에서 이동하기 (0) | 2020.02.19 |
---|---|
리본메뉴의 형태와 작동방식 (0) | 2020.02.19 |
시벨리우스의 메뉴시스템 (4) | 2020.02.19 |
마디 추가와 삭제 (0) | 2020.02.18 |
마디선택 v 시스템선택 (0) |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