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Sibelius Presented by artsource

artsource 전체글 보기 51

꾸밈음 (Ornamentation)

악보를 그리다 보면 다양한 모양의 꾸밈을을 넣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오나먼트 또는 그레이스 노트라고도 부르고 세부적으로 다양한 이름과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오나멘테이션은 연주자들이 그들만의 표현을 연주에 더하는데 훌륭한 소스이기도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오나먼트에는 그레이스 노트(Grace note)가 있는데 이것은 보통 주음(꾸밈을 받는 음)을 향해 아주 짧게 꾸며주는 음(대개 passing tone) 으로 되어있습니다. Grace note에는 두 가지 테크닉이 있는데 여러분이 많이 아시는 애포지아투라(Appoggiatura)와 아차카투라(Acciaccatura) 입니다. 이 두 가지 Grace note들은 16세기 말 바로크 음악에서부터 수 세기에 걸쳐 사용되어왔고 바흐, 모차르트, 하..

노트 퍼포머 Note Performer

많은 분들이 시벨리우스와 함께 시벨리우스 사운드 Sibelius Sounds 를 사용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여러가지 이유로 시벨리우스 사운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장난감같은 MIDI사운드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 오히려 시벨리우스 사운드보다 더 좋은 대안이 있어 소개해 드립니다. 바로 노트퍼포머 Note Performer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노트퍼포머는 단독(Standalone) 으로 작동하지 않는, 다른 소프트웨어와 연동하여 구동되는 가상악기 소프트웨어인데 시벨리우스 뿐만 아니라 피날레와 도리코도 지원합니다. 저렴한 가격에 시벨리우스 사운드보다 더 좋은 사운드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고(관/현악기의 다양한 아티큘레이션도 지원), 그 회사의 판매방식도 꽤나 매력적입니다. 우선 30일동안 무료..

트릴의 입력과 음정/속도 바꾸는 법

트릴은 라인 입력에서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런 모양으로 그립니다. 트릴을 넣고 싶은 음을 선택한 후 Notations탭의 Lines (단축키 L)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트릴이 삽입되고나면 트릴의 오른쪽 끝 부분의 네모난 컨트롤 포인트를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원하는 길이로 조정하면 끝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문제가 있을 경우가 있습니다. 트릴을 반음으로 할 것이냐, 온음으로 할 것이냐, 또는 전조 직전에 다음 조에 해당되는 음정(스케일) 을 만나는 경우, 기본적으로 삽입한 트릴이 원하지 않는 음정으로 연주될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원하는 위치에 트릴을 삽입하는데 까지는 동일합니다. 그 다음, 트릴 기호를 마우스로 선택하고(파랗게 변합니다) Home탭에 있..

Split bars 와 Split System

오늘은 Split bars와 Split Syste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가지는 비슷한 것 같지만 완전히 다른 기능이기 때문에 좀 헷갈려 하시는 분들도 계신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 두 기능을 비교해서 알아놓으시면 유용하게 쓰이리라 생각됩니다. Split bars는 마디를 분할해주는 기능이고 Split system은 시스템 전체를 분리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렇게 말해서는 잘 이해가 안 가실텐데요, 예제를 보면서 두 기능의 차이점과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Split Bars 보통 못갖춘 마디로 시작되는 곡의 Phrase가 같은 패턴으로 나올 때 (보통 '찬송가' 처럼 반복되는 phrase를 가진 경우가 그렇습니다) 악보 읽기를 쉽게 해주기 위해서 단 넘김을 사용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마디..

겹친 부분 지우기

아래 악보를 보면 마디6에 decresc. 헤어라인과 rall. 기호가 겹쳐있고 겹친 부분의 헤어라인이 지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시벨리우스 버전8 이상부터는 이렇게 지시어 등의 폰트와 헤어라인이 같은 지점에 위치 할 경우 손 쉽게 헤어라인을 지워서 보다 명확하고 깔끔한 악보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사실 지운다기 보다는 자동으로 지워지는것인데, 이것 또한 엄밀히 말하면 지워진것 처럼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 먼저 헤어라인을 그려보겠습니다. 1. cresc. 또는 decresc. 헤어라인을 넣을 자리의 마디나 음을 한 개 선택합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파란색으로 선택되었습니다. 2. 컴퓨터 자판에서 H 를 누르면 cresc. 헤어라인이 만들어집니다. 이 때 Spacebar를 누를 때 마다 헤어라인이 ..

악보의 축소/확대 손쉽게 하기

작업을 하다보면 곡 전체를 가능한 많이 훑어보거나 반대로 작업창의 크기를 확대해서 좀 더 세밀한 작업을 해야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시벨리우스에서는 기본적으로 작업창의 우측 하단에 Zoom in/out을 배치해서 작업창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지만 이마저도 키보드에 손이 올려있는 경우 다시 마우스로 손을 옮겨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이를 손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단축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컴퓨터 키보드의 Ctrl(⌘)을 누른 상태에서 숫자키패드의 1을 누르면 100%배율로 악보비율이 조절됩니다. Ctrl(⌘)과 숫자키패드의 0을 누르면 악보의 가로가 화면에 꽉차게 자동조절됩니다. 또한 Ctrl(⌘)과 숫자키패드의 + / - 를 누를 때마다 각각 악보확대/축소가 됩니다. 또 다른 경우는..

음표의 좌/우 위치를 임의대로 조정하기

악보를 그리다보면 음표의 간격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시벨리우스는 기본적으로 음표의 양에 따라서 마디의 너비를 자동으로 조절하지만 꾸밈음(Grace Notes)이 들어가거나 여러 기호들과 맞물려 음표의 간격을 수동으로 조정하고픈 때가 생기게 마련이지요. 다음과 같은 패시지가 있다고 합시다. 두 번째 마디의 첫 음표들의 위치가 마디선 쪽으로 너무 붙어있습니다. 물론 이 때 사용하는 1차적인 간격조정 방법이 있습니다. 악보전체 또는 일부구간을 선택한 다음, Appearance ▸ Reset Notes ▸ Reset Note Spacing (단축키 Shift+Ctrl+N / ⇧⌥N) 을 누르면 자동으로 음표간의 간격이 조절됩니다. 여기서는 더 나아가서 제목에서와 같이 '임의대로' 조정하는 방법을 ..

2nd Ending 부분 Tie 연결하기

다음과 같은 악보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악보의 일부분 입니다) 아래 악보상 첫 마디에서 1st Ending이 시작하는 두 번째 마디 사이에는 Tie로 연결된 음표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2nd Ending부분 역시 똑같은 패시지로 진행하는 경우 앞 마디와 연결되어있어야 할 Tie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단순하게 단음으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심볼을 이용하여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단음(단선율)일 경우 해결방법 1. 2nd Ending이 시작하는 마디를 선택합니다. 2. 단축키 Z를 눌러 심볼메뉴를 엽니다. 3.Notes 카테고리의 above 또는 Below tie중 원하는 모양을 선택합니다. 4. 타이가 그려지고나면 컨트롤포인트를 이용하여 원하는대로 모양을 수정합니다. 코드일 경우 해결방법..

숨기기 속성 활용하기

시벨리우스에서는 대부분의 개체들을 '숨김' 처리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잘 활용하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죠. 예를들면 악보에는 나타나게 하고 싶지 않지만 연주와 관련된 것들을 처리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mp, mf, f 등 다이내믹 기호들을 삽입한 후 '숨김'처리하면 악보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연주에는 그 다이내믹이 적용이됩니다. 또한 빠르기와 관련된 표시들도 '숨김'처리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연주에 반영이 된답니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속도에 변화를 준 후 그걸 숨김처리하게되면 연주에서는 마치 루바토Rubato 하여 연주하는 것처럼 처리되게 됩니다. 피아노 페달링도 이 방식으로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숨김속성으로 바꾸는 방법은~ 숨기고자 하는 개체를 선택한 후 Shift + Ctr..

큰보표(피아노) 사이의 마디선 끊기

큰보표(예: 피아노)의 경우 기본적으로 윗단(오른손)과 아랫단(왼손) 사이에 마디선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코랄이나 찬송가와 같이 큰보표 안에 가사가 있는 경우에는 이 마디선을 끊어주게 되는데 이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아래와 같은 악보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기본설정을 따라서 윗단과 아랫단의 마디선이 연결되어있습니다. 이 마디선 연결을 끊는 것은 마우스 드래그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아랫단에 있는 마디선의 끝부분(제일 하단부분)을 마우스로 선택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컨트롤 포인트가 나타납니다. 2. 컨트롤 포인트를 잡고 위로 드래그 합니다. (이 중에서 아무 컨트롤 포인트를 선택해도 무방합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연결된 마디선을 끊어지며 깔끔한 악보가 되었습니다.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