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Sibelius Presented by artsource

artsource 전체글 보기 51

시벨리우스 각 부분의 명칭

소프트웨어의 부분별 명칭을 알아두면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많은 명칭들이 다른 소프트웨어와 공유하는 것들이어서 컴퓨터를 활용한 모든 작업에 유용한 부분입니다. 시벨리우스의 각 부분의 명칭을 알아보고 그 역할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1. 타이틀 바 (Title Bar) 현재 작업중인 악보의 파일이름을 보여주며, 파트스코어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 파일 - 악기 순으로 이름이 표시됩니다. 아직 저장되지 않은 파일이라면 untitled 로 표시되고, 저장한 파일의 경우 * 별 마크가 파일명 뒤에 있을 경우는 저장되지 않은 내용이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2. 도큐먼트 탭 (Document tabs) 하나의 창(윈도우) 안에 여러 탭을 열어놓고 작업할 수 있습니다. 토큐먼트 탭에는 현재 열려있는 총보와 파트..

시벨리우스의 메뉴시스템

시벨리우스는 윈도우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여 출발한 소프트웨어이기에 윈도우즈 컴퓨터의 방식으로 메뉴가 구성되어 있고 매킨토시에서도 그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윈도우즈와 맥 버전 간의 차이가 없습니다. 시벨리우스가 채택한 리본메뉴는 기존 텍스트 기반의 드롭다운 메뉴를 보완하기 위해 Microsoft사가 개발한 것으로, MS Office2007부터 도입되었고 버트콘 또는 버튼에 아이콘과 메뉴명을 함께 표기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이후로 윈도우즈를 비롯한 많은 소프트웨어들이 이러한 방식의 메뉴구조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리본메뉴는 사용자의 모니터 크기와 해상도 및 작업 창의 크기 변화에 따라 메뉴의 양과 모양이 대응하는 방식을 취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작업 창의 크기를 작게 줄일수록 주요 메뉴만 표시되고..

코랄(찬송가)처럼 단 넘김하기 (Split)

코랄이나 찬송가처럼 여러 절로 이루어진 성악곡이 못갖춘마디일 경우라면 통상적으로 약간 다른 모양의 단 넘김이 필요합니다. 모든 단을 매번 못갖춘마디로 일일이 처리하려면 꽤나 복잡한 과정이 될텐데 시벨리우스는 이것을 아주 단순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Amazing Grace의 악보입니다. 단 넘김이 되어있지 않습니다. 위의 악보를 아래와 같이 바꾸어보겠습니다. 위 악보는 단넘김을 보여드리기 위해서 일부러 4단으로 단넘김을 하였습니다. 저 정도의 분량이라면 좀 무리지요? ㅎ 못갖춘마디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이렇게 구현하려면 꽤 노가다를 해야하는데, 시벨리우스에서는 매우 단순한 방법으로 이렇게 못갖춘마디의 단넘김 설정이 가능합니다. 리본메뉴를 보면 Home바가 있습니다. 서브..

단 넘기기(System Break)

시벨리우스는 입력된 악보의 내용에 따라 보기좋게 자동으로 단 조절을 합니다. 따라서 레이아웃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초보자가 악보를 그려도 아름다운 악보가 만들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의도적으로 단 넘김을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시벨리우스는 워드프로세서와 비슷한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넘김도 워드에서 줄바꿈을 하는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합니다. 단 넘김(워드의 줄바꿈)을 하고 싶은 마디선을 선택합니다. 선택된 마디선은 파란색이 됩니다. 컴퓨터의 키보드에서 Enter를 누릅니다 이렇게 하면 즉각적으로 단 넘김이 됩니다. 메뉴에서는 Layout > Breaks > System Break 에 위치하고 있으며 큰 그림으로 볼 때 Breaks에는 이렇게 자르고 나누는 기능..

박자표 설정

Notation > Common > Time Signature 빈 종이로 작업을 시작했을 경우나 악보를 그리는 도중 박자표를 변경 또는 수정해야할 때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빈 종이로 작업을 시작했을 경우 시벨리우스를 처음 실행하면 뜨는 Quick Start 창에서 Blank 템플릿을 더블클릭하면 빈 종이가 나타납니다. 를 가정하여 박자표를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편의상 피아노를 추가했습니다. 악기 추가하는 방법은 여기 참조. 아래 악보를 보시면 악기만 추가되어있고 아무런 박자도 설정되어있지 않습니다. 여기서 단축키 'T'를 누릅니다. Time Signature의 머릿글자입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박자표 설정메뉴가 팝업됩니다. 여기서 자신이 원하는 박자를 선택하면 마우스 커..

못갖춘마디 설정

박자표 설정은 처음 악보셋팅과정에서 할 수도 있고 추후에 수동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 빠른시작 창에서 셋팅을 할 경우 박자표 설정 부분에 Other 라고 되어있는 버튼을 누르면 박자표를 설정하는 창이 나옵니다. 작업 중간이나 Blank로(박자 설정을 건너뛰고) 작업을 시작한 경우라도 단축키 'T'를 누르면 왼쪽그림과 같이 박자표 설정 Time Signature 메뉴가 나옵니다. 그런데 기본으로 제공하는 박자표에 원하는 박자가 없거나 못갖춘마디를 그려야할 경우는 좀 더 디테일한 설정이 필요합니다. 왼쪽의 그림에서 젤 아래를 보시면 More Options라는 메뉴가 보입니다. 그걸 클릭하게 되면 Time Signature라는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이것은 빠른시작 창에서 악보를 시작할 때 박자표 설정 부분에..

악기 추가/삭제

악기추가하기 시벨리우스로 새로운 악보작업을 시작할 때, 악기를 설정하며 진행할 경우 아래와 같이 악기 추가/삭제 창을 만나게 됩니다. 그러나 빈 종이로 새로운 작업을 시작한 이후에도 악기를 추가/삭제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에서 Instruments의 첫글자인 'I'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악기 추가/삭제 창이 뜹니다. 창의 왼쪽 부분은 악기목록이고 오른쪽은 현재 작업하는 악보에 어떤 악기가 추가되어있는지를 보여주는 부분 입니다. 왼쪽 창의 Find에서 원하는 악기이름을 직접 입력하여 악기를 검색할 수도 있고 그 바로 아래에 있는 Choose from: 메뉴에서는 시벨리우스가 제공하는 여러가지 악기묶음을 변경해서 볼 수 있습니다. 모든 악기 보기 부터 밴드, 자주쓰는 악기, 재즈, 오케스트라, 오르프, 팝-..

마디 추가와 삭제

Home > Bars > Add 시벨리우스를 실행하면 가장 먼저 궁금해 하는 것 중 하나가 마디를 어떻게 추가하고 삭제하는가 입니다. 시벨리우스는 다른 여느 소프트웨어보다도 직관적으로 마디를 추가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 마디는 영어로 Bar라고 합니다. 첫글자 B가 바로 마디를 추가하는 단축키로 외워두면 매우 유용합니다. 메뉴상으론 Home바 안에 위치해있지만 단축키 B가 훨씬 쉽습니다. 마디를 추가할 때는 Ctrl(⌘) + B 를 누르게 되면 기본적으로 악보의 가장 뒷 부분에 마디가 추가됩니다. 일반적으로 악보를 계속 입력하다보면 자동으로 마디가 추가되면서 입력이 되지만 때때로 마디를 더 만들어 놓고 싶을땐 간단히 Ctrl(⌘) + B만 누르면 마디가 추가됩니다. 악보의 중간에 마디를 삽입해야하는 경..

마디선택 v 시스템선택

임의의 마디 내의 빈 공간을 마우스로 선택하면 그 마디는 하늘색으로 선택됩니다. 여러마디를 다중으로 선택하려면 선택하려는 첫마디(또는 마지막 마디)를 선택한 후 Shift를 클릭하고 또 다른 마디의 빈 공간을 선택하면 두 마디 사이의(수직 또는 수평) 모든 마디들이 하늘색으로 다중선택됩니다. 이렇게 하늘색으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 상/하 화살표키를 누르면 음이나 개체가 위/아래로 이동합니다. 또한 Delete키를 클릭하면 마디에 입력된 음표 또는 쉼표가 있을 경우 모두 삭제됩니다. 시스템 선택은 마디선택과 달리 한 시스템(단)을 선택하는 것으로 마디 안의 내용을 삭제하거나 수직이동시키는 것이 아닌 마디 자체를 삭제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어떤 마디를 Ctrl을 누른채 마우스로 선택하면 시스템 전체가 보라..

개체 선택

시벨리우스의 모든 개체는 마우스로 직접 선택이 가능합니다. 음표, 쉼표, 악상기호, 다이내믹, 마디 등등 개체선택에는 단 한개의 개체만 선택된 단일선택(Single selection)과 분리되어있는 여러 개의 개체가 함께 선택되는 다중선택(Multiple selection) 그리고 연결되어있는 여러 개의 개체가 연속적으로 선택된 구간선택(Selected passage)이 있습니다. 단일선택 한 개의 개체만 선택되는 단일선택(Single selection)은 음표 또는 개체를 마우스클릭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키를 사용하여 좌/우 옆의 개체로 이동하거나 ↑/↓키를 사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거나(음표의 경우) 위치를 이동시킬 수(개체의 경우) 있습니다. 다중선택 연속적이지 않은 여러개의 개체가 함께 선택되..